전체 글118 [Kubernetes] Quality of service(QOS) 아래 글을 기반으로 쿠버네티스 환경에서는 컴퓨터 자원을 어떻게 관리하는지와 압축 가능한 자원 및 압축이 불가능한 자원에 대하여 알아볼 수 있었다. [Kubernetes] 쿠버네티스의 컴퓨터 자원(CPU/Memory) 관리 및 제한 - 1 쿠버네티스는 Namespace와 Cgroup을 통해 컨테이너의 격리된 환경을 구축하고 배포한다.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컴퓨터 자원의 할당의 제한이 선언되면 쿠버네티스의 Scheduler는 컨테이너가 생성되기 ssnotebook.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Quality of Service(QOS)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파드는 생성할 때 요청(Request)과 제한(Limit)이라는 사용할 컴퓨터 자원의 제약을 둘 수 있다, 이 제약에 따라 쿠버네티스는 서비스.. 2024. 2. 28. [ELK] Kubernetes 환경에서 Elasticsearch / Kibana 설치 최근에는 많은 회사들이 Elastic Stack으로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축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한다. https://ssnotebook.tistory.com/entry/ELK-Elasticsearch [ELK] Elasticsearch1. 엘라스틱 서치(Elasticsearch) : 아파치 루씬(Apache Lucene)을 기반으로 Java로 개발된 엘라스틱 서치는 분산형 RESTful 검색 및 분석 엔진으로 Elastic 재단에서 개발한 엘라스틱 스택(Elastic Stack)의 핵심적ssnotebook.tistory.com 여기서 필수적으로 이용이 되는 Elasticsearch(데이터 저장) / Kibana(시각화 대시보드)를 쿠버네티스 Pod 환경에서 이미지 기반으로 구동하는 예시를 알아볼 것.. 2024. 2. 21. [PostgreSQL] Replication Slot 과거에는 복제 슬롯(Replication Slot)이 없을 때, 스트리밍 복제에서 원본(Master)은 복제(Slave)의 상태를 알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WAL 세그먼트를 관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그로 인하여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예시] 마스터 서버에서 큰 트랜잭션이 일어나고 있고, 복제 서버가 정지 상태(시스템 패키지 업그레이드,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등의 이유) 일 때, 해당 복제 서버의 상태와 관계없이 마스터 서버에서는 트랜잭션을 마치고 체크포인트를 통과하면 트랜잭션 로그(WAL 세그먼트)를 제거를 하게 되는데, 정지된 복제 서버에서는, 복제본의 유지 관리가 중단되었기 때문에, 복제 지연이 크게 발생하여 재기동을 할 때, 아래 에러가 발생된다. LOG: started s.. 2024. 2. 16. [Kubernetes] 쿠버네티스의 컴퓨터 자원(CPU/Memory) 관리 및 제한 - 1 쿠버네티스는 Namespace와 Cgroup을 통해 컨테이너의 격리된 환경을 구축하고 배포한다.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컴퓨터 자원의 할당의 제한이 선언되면 쿠버네티스의 Scheduler는 컨테이너가 생성되기에 알맞은 노드(컴퓨터 자원이 충족되는)를 선택한다. ※ 컨테이너는 CPU, Memory, Disk(FileSystem)와 네트워크, 프로세스 ID, GPU 등의 컴퓨터 리소스를 소비할 수 있다. 과거에는 쿠버네티스에서 Cgroups v1을 기반으로 컴퓨터 자원을 격리했는데, 쿠버네티스 1.22 버전을 시작으로 Cgroups v2를 이용하여 더 효율적으로 컴퓨터 자원에 대한 관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https://kubernetes.io/blog/2021/11/26/qos-memory-resour.. 2024. 2. 5. [ELK] Elasticsearch 1. 엘라스틱 서치(Elasticsearch) : 아파치 루씬(Apache Lucene)을 기반으로 Java로 개발된 엘라스틱 서치는 분산형 RESTful 검색 및 분석 엔진으로 Elastic 재단에서 개발한 엘라스틱 스택(Elastic Stack)의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엘라스틱 스택 : 엘라스틱 재단에서 개발한 데이터의 대규모 수집, 분석, 검색 및 시각화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일컫는 스택을 의미하는데 대표적으로 아래 3가지 스택을 가지고 ELK 스택이라고도 한다. 엘라스틱 서치(Elasticsearch) : 데이터 저장, 검색 및 분석 등의 역할을 수행로그 스태시(Logstash) :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등의 역할을 수행키바나(Kibana) : 수집한 데이터의 시각화와 데이터에 관한 .. 2024. 1. 14. [Network] NAT / SNAT / DNAT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공유기에 연결된 PC는 사설 IP(Private IP)를 공유기로부터 배정받고, 외부로 패킷이 나갈 때는 공인 IP(Public IP)로 나가게 되어 통신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IP 변환 과정에는 라우터의 NAT를 사용하게 된다. 통신의 흐름을 보면 아래 사진과 같이 볼 수 있다. 예시 : PC(Private IP) -> 공유기(NAT) -> 구글(Public IP) -> 공유기(NAT) -> PC(Private IP) NAT(Network Address Translator) : NAT는 패킷이 라우터를 지나갈 때 패킷의 IP 헤더에 있는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수정하여 IP 주소를 다른 IP 주소로 매핑하는 방법이다. NAT는 다양한 장점이 존재한다. IPv4는 2 ** 32(40억.. 2023. 12. 21.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