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CP/IP의 정의 및 역할
-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P) 내에서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 지향적인 프로토콜이다.
3-way Handshaking을 통하여 송신자와 수신자의 상호 연결 설정을 통해 통신을 시작하며, 해당 연결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TCP는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IP 프로토콜 위에서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전송계층 프로토콜
 - 전이중(Full Duplex) 방식의 양방향 가상 회선을 제공
 - 패킷의 순서와 확인 번호를 기반으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 (손실 시 재요청)
 - OSI 7 계층의 4 계층(전송 계층)에서 속함
 
- IP : Internet Protocol
 
IP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호스트들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주로 TCP와 함께 기본적인 네트워크 통신 역할을 수행한다.
- 패킷 전송을 위한 경로(IP 주소) 사용 및 설정
 - 데이터를 패킷으로 분할 및 재조립
 - Ipv4 : 32비트 주소 체계 사용
 - Ipv6 : 128비트 주소 체계 사용
 - OSI 7계층의 3 계층(네트워크 계층)에서 속함
 
2. TCP/IP Layer
기존의 OSI 계층을 더 추상화 시켜 TCP/IP(인터넷 프로토콜 슈트) 레이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이는 7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던 OSI 계층을 4 계층으로 추상화하였고 아래를 통하여 내용과 해당 프로토콜을 확인해 볼 수 있다.

- Application Layer :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P)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는 프로세스 간 통신 접속을 위해 설계되어 통신 프로토콜과 방식을 위해 보유된 추상 계층
- FTP
 - HTTP(S)
 - SSH
 - Telnet
 - DNS
 - SMTP
 - POP
 - TLS/SSL
 
 
- Transport Layer : 계층 구조의 네트워크 구성요소와 프로토콜 내에서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송 계층은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 신뢰성, 흐름 제어, 그리고 다중화와 같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
- TCP
 - UDP
 - RTP
 - RTCP
 - QUIC
 
 
- Internet Layer :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서 인터네트워킹 메소드, 프로토콜, 사양을 모아둔 것으로, 네트워크 경계를 거쳐 호스트로부터 기원한 네트워크 패킷을 필요하면 IP 주소로 지정된 목적지 호스트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
- IP(IPv4 / IPv6)
 - ARP
 - RARP
 - ICMP
 
 
- Network Access Layer(Link Layer) : 링크 계층은 호스트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링크 상에서만 운용되는 메소드, 통신 프로토콜로 구성
- Ethernet
 - MAC
 - NDP
 - OSPF
 
 
3. TCP Flow

반응형
    
    
    
  'Computer-S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etwork] UDP (0) | 2023.07.31 | 
|---|---|
| [Network] TCP : 3-Way Handshaking / 4-Way Handshaking (0) | 2023.07.26 | 
| [Network] 도메인 주소 입력 시 데이터 요청 과정 (0) | 2023.06.25 | 
| [Network]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0) | 2023.02.07 | 
| [Network]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 Same-Origin Policy (SOP) (0) | 2022.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