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3 [Jenkins] Jenkins Pipeline내 UUID 생성 CI/CD에 많이 사용되는 Jenkins는 Java로 개발되어 있어서 내장된 라이브러리를 파이프라인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이를 활용하여 Pipeline을 만들 때, Docker Image Tag와 같은 ID값에 사용할 수 있는, UUID를 생성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볼 것이다. Pipeline 생성 test란 이름의 pipeline을 먼저 생성한다. Pipeline 내용 기입 pipeline { environment { NEW_UUID = UUID.randomUUID().toString() } agent any stages { stage('UUID TEST') { steps { sh 'echo $N.. 2025. 1. 13. [Jenkins] Build Number 초기화 Jenkins를 이용하면서 Job을 실행시키면, 각 수행마다, Build Number가 순차적으로 올라간다. 이 Build Number는 Job 내부에서 환경변수로 이용을 할 수 있고, 이는 여러 가지 변수(컨테이너 이미지 태그 등)로 사용할 때가 많았다. 하지만 어느 순간 초기화(다시 1로)가 필요해질 때가 발생하여, 기록차 남기게 되었다. 1. Jenkins 관리로 이동 2. Script Console로 이동 3. Script 기입 및 실행 아래는 특정 Job에 대하여 과거에 저장되었던 Build 내용을 삭제하고, Build Number를 초기화하는 스크립트다. // 특정 Job의 Build 내역을 삭제하고 Number를 초기화하는 Scriptitem = Jenkins.insta.. 2024. 7. 2. [Docker] Dind (Docker in docker) / Dood(Docker out of docker) Jenkins와 같이 CI/CD 툴을 Docker 컨테이너로 이용할 때, 타 WAS의 이미지를 빌드하고 컨테이너로 사용하려고 하면 아래와 같은 고민사항이 있을 것이다. Jenkins 컨테이너 내부에서는 로컬호스트와 격리된 환경이기 때문에 이미지를 빌드할 때 이용될 때에는 어떤 도커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할지, 컨테이너의 각 환경은 어떻게 외부와 통신을 할 것인지 등의 의문이 들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개념이 생기게 되었다. 1. Dind(Docker in docker) Dind(Docker in docker)는 문자의 의미 그대로 도커 내부에서 로컬 호스트에서 이용하는 도커와는 다른 별도의 도커를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그 예시로 Jenkins 컨테이너에서 도커 이미지를 빌드하려면 도커가 필.. 2023. 6.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