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6 [Kubernetes] 파드 간 통신 방법과 FQDN/DNS 요청 시 발생한 에러 처리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Pod는 바인딩한 Service의 이름이나 Cluster-IP를 이용하여 다른 Pod와 통신을 할 수 있다. 해당 글에서는 파드 간 통신 방법과 해당 방법을 이용하는 중 발생한 에러 및 트러블 슈팅에 대하여 다룰 것이다. 1. 파드 간 통신예시로, nginx라는 Pod가 존재하고, [Pod]# nginx-pod.yamlapiVersion: v1kind: Podmetadata: labels: app: nginx name: nginxspec: containers: - image: nginx:latest name: nginx resources: {} dnsPolicy: ClusterFirst restartPolicy: Alwaysstatus: {} my-spr.. 2023. 8. 21. [Algorithm] 시간 복잡도 (Time Complexity) 1. 시간 복잡도 및 표기법 시간 복잡도는 특정 코드가 있을 때, 해당 코드에서 특정한 입력이 주어졌을 때, 얼마나 많은 연산을 하는지에 대한 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알고리즘마다 특정 값에 대한 참조, 연산이 많을수록 당연히 복잡도가 다르고, 때에 따라서는 비효율적인 알고리즘이 될 수 있기에 우수한 성능을 낼 수 있는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시간 복잡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알고리즘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시간 복잡도를 표기하는 방법에는 아래의 3가지가 존재한다. 1) 빅 오(Big O) 표기법 빅 오(Big O) 표기법은 알고리즘의 실행 시간을 최악의 경우의 시간 복잡도로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어떤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가 O(f(n))이라면, 해당 알고리즘의 실행 시간은 입력 크기 n이 증가함에.. 2023. 8. 19. [Network] Private(사설) IP / Public(공인) IP 1. Private(사설) IP : 사설 IP 주소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설 IP 주소는 글로벌 인터넷에서 고유(Unique) 하지 않고,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만 중복 없이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서 배정하여 사용하고, 아래 특징을 가진다. 제한된 범위 : 사설 IP 주소는 특정 범위 내에서 할당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로컬 네트워크 : 사설 IP 주소는 로컬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되기 때문에 외부 인터넷에서 사설 IP로 직접 접근 불가능 NAT (Network Address Transla.. 2023. 8. 16. [Kubernetes] 쿠버네티스 Ec2(Kubeadm) 환경에서 Master-Worker Node 구축 쿠버네티스 환경을 구축하는 방식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는데, 그중에서도 kubeadm을 이용하여 ubuntu 서버 내에 설치하고 직접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방식을 다루어 볼 것이다. 1. EC2 인스턴스 생성 쿠버네티스는 기본적인 컴퓨터 자원의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인스턴스 사양의 CPU는 2 core 이상, RAM은 2 GB 이상을 필요로 한다. ubuntu 서버 기준으로 t2.medium이나 t3.medium이 최소 사양이라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마스터 노드 1개, 워커 노드 1개로 구성할 것이다. 2. 인스턴스 보안그룹 생성 쿠버네티스는 노드 간 다양한 포트를 통하여 통신을 하는데, 컨트롤 플레인(마스터 노드)과 워커 노드의 각각의 필요한 포트를 이용하기 위하여 보안 그룹 설정을 필요로 한다.. 2023. 8. 11. [Kubernetes]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IP]:6443 was refused 쿠버네티스를 설치하고 Master Node 구축을 위하여 kubeadm의 초기화를 한 후 kubectl을 이용하여 정보를 확인하려던 차, 아래의 에러가 발생했다.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172.31.12.179:6443 was refused - did you specify the right host or port? 위 에러는kubectl을 이용하여 kube-apiserver로 요청을 보냈으나 kubelet 또는 kube-apiserver에 현재 문제가 있어 통신에 장애가 있다는 것이다. # 초기화 sudo kubeadm init # 초기화 후 설정 mkdir -p $HOME/.kube sudo cp -i /etc/kubernetes/admin.conf $HOME/.kube/c.. 2023. 8. 7. [OS] Byte Order 1. Bit(비트) : 컴퓨터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 이진(Binary)으로 구성(0과 1의 형태로 저장) 2. Byte(바이트) : 8개의 비트의 묶음을 나타내는 단위 컴퓨터의 기억장치 크기의 기준 문자의 표현을 위한 기본 단위 1 Byte : 확장된 아스키 코드(ASCII) - 7bit 2 Byte : Unicode 3. Byte Order(바이트 오더) :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되는 순서를 의미 빅 엔디안 : 낮은 메모리 주소에 데이터의 높은 바이트(MSB : Most Significant Bit)부터 저장하는 방식 IBM, RISC기반의 컴퓨터에서 사용 수의 대소 비교에 빠름 소프트웨어 디버깅에 강함 네트워크 바이트 오더의 가장 흔한 포맷 리틀 엔디안 : 낮은 메모리 .. 2023. 8. 6.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