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ops44

[Linux/Ubuntu] 메모리 / 디스크 / 디렉토리 용량 확인 많은 사람들이 AWS에서 Ubuntu를 기반으로 EC2 인스턴스를 많이 생성해서 운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운용함에 있어 알아두면 좋은 명령어들이다. 1. 메모리 확인# 기본 명령어$ free# 가독성을 높인 옵션$ free -h# 저장 바이너리 단위로 출력 # (-b, -k, -m, -g) : 순서대로 바이트, 키비바이트, 메비바이트, 기비바이트# (--tebi, --pebi) : 테비바이트, 페비바이트$ free -b# 용량 단위로 출력# (--kilo, --mega, --giga, --tera, --peta)$ free --kilo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6가지 항목을 출력한다.total : 현재 인스턴스의 총 메모리used : total 메모리에서 항목 중 free 및 buff/cache를.. 2023. 7. 21.
[Ubuntu/AWS] 스토리지 확장 적용 ※ 해당 세팅은 ubuntu 22.04 기준으로 작성된 게시글이다. 아래는 현재 사용중인 서버의 스토리지의 총량과 사용량을 나타내는 명령어이다. # EC2 인스턴스 내 사용 가능 스토리지 확인 # -h 옵션은 사람이 읽기 좋은 단위로 변환 $ df -h AWS에서 초기에 세팅한 스토리지(EBS)의 용량에서 추가로 확장 시켜도 위의 명령어를 통해서 EC2 인스턴스에서 적용이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WS에서도 스토리지의 설정을 한 후 적용되는 시간이 필요하고, 이후에도 위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적용이 되지 않았다면 아래의 절차에 따라서 스토리지 마운트를 하여 이용할 수 있다. AWS의 스토리지에 변화가 있을 때, EC2에서 사용하는 모든 스토리지에 관련이 있고, EC2에 종속된 스토리지의 볼륨의 .. 2023. 6. 29.
[Ubuntu/Linux] 사용자 계정 생성 및 접속 방법 AWS 또는 GCP의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EC2나 Cloud Engine(VM)을 이용하여 개발할 때, Ubuntu(또는 CentOs)를 많이 이용한다. 통상적으로 서버에 접속할 때는 CSP(Cloud Service Provider)에서 제공하는 브라우저에서 접속하거나, 비밀 키를 이용하여 Putty나 터미널을 이용하여 root계정에 접속하여 작업을 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번거로우며 비밀 키에 대한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 ssh 접속 예시ssh -i [비밀 키] [사용자 계정 이름]@[인스턴스 서버 IP]  이러한 부분에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면, 비밀키를 관리하는 노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여러 명의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할 필요가 있을 때, 다수의 사.. 2023. 6. 27.
[Docker] Dind (Docker in docker) / Dood(Docker out of docker) Jenkins와 같이 CI/CD 툴을 Docker 컨테이너로 이용할 때, 타 WAS의 이미지를 빌드하고 컨테이너로 사용하려고 하면 아래와 같은 고민사항이 있을 것이다. Jenkins 컨테이너 내부에서는 로컬호스트와 격리된 환경이기 때문에 이미지를 빌드할 때 이용될 때에는 어떤 도커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할지, 컨테이너의 각 환경은 어떻게 외부와 통신을 할 것인지 등의 의문이 들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개념이 생기게 되었다. 1. Dind(Docker in docker) Dind(Docker in docker)는 문자의 의미 그대로 도커 내부에서 로컬 호스트에서 이용하는 도커와는 다른 별도의 도커를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그 예시로 Jenkins 컨테이너에서 도커 이미지를 빌드하려면 도커가 필.. 2023. 6. 24.
[Docker] 볼륨 마운트 / 바인드 마운트 도커에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기본적으로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난 뒤의 데이터들은 컨테이너가 삭제되면서 같이 삭제된다. 이를 컨테이너와 함께 삭제되지 않도록 로컬 호스트에 위치하도록 하고 싶거나, 컨테이너에 내부에서 사용되는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로컬 호스트 또는 다른 컨테이너와 동시에 참조할 필요성이 있을 때, 도커에서 제공하는 볼륨 마운트와 바인드 마운트 기능을 이용하면 된다. 1. 볼륨 마운트 볼륨 마운트는 도커 컨테이너에서 사용할 특정 볼륨을 생성한 후 컨테이너를 이용할 때 해당 볼륨과 마운트 하여 이용한다는 것으로 아래 순서를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 1) 볼륨 생성 # 볼륨 생성 $ docker volume create my-volume 1-1) 볼륨 확인 # 볼륨 상세 확인 .. 2023. 6. 21.
[Docker] 컨테이너의 Resource 사용 확인 도커에서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각 컨테이너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자원을 확인하는 명령어 또한 존재한다. $ docker stats 위 명령어를 통해 Running 중인 컨테이너의 컴퓨터 자원의 사용량을 알 수 있다. 컨테이너의 CPU 또는 메모리를 과도하게 점유로 인하여 API 제공에 장애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서버에서 갑작스러운 속도저하 발생 시 해당 명령어를 통해 체크해 볼 수 있다. 명령어 입력 시 아래의 사진처럼 출력이 되며 실시간 사용량을 볼 수 있다. 2023. 4. 17.